• 최종편집 2024-03-28(목)

오피니언
Home >  오피니언  > 

실시간뉴스

실시간 기사

  • 박용만 칼럼
    "통일 후 가장 신경써야할 건 北 '질투' 관리" “문화 차이는 곧 질투 투쟁”이라고 말한 프랑스 학자 르네 지라르를 인용하면 “통일 후 가장 신경써야 할 것은 북한의 ‘질투’를 관리하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북한 사람들이 경제력 차이로 인해 남한 사람들에게 심한 열등감을 느끼다 질투로 커질 경우 통일 이후 질적인 통합에 걸림돌이 될 것이라는 것이다. 정치·경제 통합 못지않게 문화적 갈등 관리가 중요하다는 의미다. “통일 후 독일은 동·서독 사람들 간의 심각한 ‘질투 투쟁’을 겪었습니다. 심한 문화 차이로 서독인들이 동독인들을 우스꽝스럽다며 놀려댄 게 사회문제화된 것이죠. 통일 한국에서도 남북한 간의 문화적 반목인 ‘질투’를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정치·경제 관리 못지않게 중요할 겁니다.” “베를린 장벽은 무너졌지만 사람들 간의 문화·심리적 장벽은 더 높아졌다”며 “이를 잘 관리해 문화적 통일을 이뤄야 진정한 통일을 할 수 있다는 확신이 생겼다”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사람들 간의 직접적 갈등인 심리적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면 정치와 경제 등 모든 측면에서 두세 배 이상의 갈등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독일이 통일할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는 ‘유럽공동체’라는 보다 넓은 시야로 통일문제에 접근했기 때문”이라며 “우리도 시야를 좀 더 넓힐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민족 개념을 뛰어넘어 동아시아 공동체라는 개념으로 접근할 때 해결책이 보이고, 통일 후 유럽의 독일처럼 동아시아에서 통일 한국의 역할도 커질 것이라는 설명이다.
    • 오피니언
    2015-03-20
  • 박용만칼럼, 광복 70주년을 맞은 한반도의 통일된 민족국가 숙제는?
    “남북이 해방 국면에서 통일됐어야 한다는 차원에서 사용하는 ‘재통일(reunification)’ 개념에서 벗어나야 한다. 21세기 통일은 ‘신통일(new unification)’이 되어야 한다. 근대 부강국가 시대에는 이탈리아나 독일의 경우처럼 내부 결합을 통한 독립으로서의 통일이 중요했다. 21세기엔 그런 차원의 통일만으로는 안 된다. 한반도를 넘어서 동아시아, 나아가서는 세계적 차원까지 아우르는 통일이 아니면 통일 한반도가 21세기의 주역이 되기 어렵다. 남북이 합쳐봐야 우리가 가진 힘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다. 동아시아 판이 어떻게 전개되느냐에 따라, 우리가 설 자리가 달라진다. 간신히 통일을 이뤘는데 동아시아, 세계 차원에서 접목되지 않은 통일이라면 통일의 시너지를 폭발시킬 수 없다.”
    • 오피니언
    2015-01-12
  • 박용만칼럼-통일논의 앞서 북 인권 개선부터 나서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23일(한국 시간) 사상 처음으로 북한인권 문제를 정식 의제로 상정해 논의할 예정이다. 정부 당국자는 이날 “유엔 안보리가 23일 오전 5시, 미국 뉴욕 시간 22일 오후 3시쯤 북한인권 문제를 안건으로 상정할 것”이라며 “유엔 안보리에 북한인권 문제가 상정되는 것만으로도 북한에 큰 압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내년 3월 서울에 개설될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의 북한인권 현장사무소는 국제사회가 전개해온 북한인권 개선 노력의 구체적 결과물로 향후 북한 인권 개선의 전초기지 역할을 담당할 전망이다. 무엇보다 우리 정부는 국제사회와의 공조체제를 더욱 공고히 하고, 북한에 대한 일방적 지원은 지양하며, 지원에 따른 요구로 당당히 그들이 인권 개선을 위한 실질적 환경 조성을 최우선적으로 요구해야 한다. 우리 헌법 10조에는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북한 주민도 엄연한 대한민국의 헌법상 국민으로서 보호받아야 할 마땅한 권리가 있는 것이다. 북한 주민의 인권 유린과 비참한 인권 상황을 더 이상 외면해서는 안 된다. 인권은 인류 보편적 가치로서 국경이 있을 수 없으며 인간이 지닌 최고의 가치다. 북한의 인권이 개선되지 않은 상황에서 통일을 논하는 것은 이치에도 맞지 않는 어불성설이다. 우리 모두, 아니 세계가 열망하는 통일한국의 미래를 위해 하루속히 북한의 인권이 개선돼 남북통일의 초석이 되기를 간절히 바란다.
    • 오피니언
    2014-12-22
  • 박용만 칼럼- 남과 북의 가족이 함께 보는 보름달이 되었으면
    5일이나 되는 추석연휴를 맞아 3500만 명이 고향을 찾아 설레는 발걸음을 시작한다. 팍팍했던 일상을 벗어나 오랜만에 모인 가족 친지들이 조상 묘를 찾고 이야기 꽃을 피우며 가족애를 되새기는 시간이다. 일년 중 가장 둥굴다는 추석 보름달은 장소와 이념을 가리지 않고 인간의 삶을 푸근하게 굽어본다. 휴전선 남쪽에 뜨는 달은 북쪽에서 바라보는 그 보름달인 것이다. 민족이 대 이동하는 추석에도 그리운 가족을 만나지 못해 고통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다. 대한 적십자사에 북한에 사는 이산가족을 찾아달라고 신청한 128.842명 가운데 55.960명이 이미 사망을 했다고 한다. 남은 72.882명만 이제나 저제나 북한의 형제.자녀.친척을 상봉할 날을 애타게 기다린다. 서울에서 평양까지220키로 정도니 차로 2시간 반이면 닿는 거리다. 하지만1948년 남북분단 정부가 수립된 이후 남북이산가족의 자유로운 통행을 막고 있는 군사분계선은 65년이 지난 오늘도 높고 견고하기만 하다. 이제는 남북이 적당히 타협해 이벤트성으로 벌이는 이산가족상봉의 틀을 근본적으로 바꿀 때가 됐다. 상시적으로 이산가족의 생사와 주소확인 작업을 하고 서신의 자유로운 왕래도 보장돼야한다. 한번 만난 가족들이 언제든 상설면회소에서 만날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는가! 반세기 동안 헤어졌던 가족들에게 공개된 장소에서 몇 시간 동안 형식적으로 만나게 하는 것은 너무나 비인간적이다. 기약할 수 없는 생이별을 다시 강요하는 방식은 만남의 기쁨보다 더 긴 헤어짐의 고통을 요구한다. 북한이 이산가족상봉을 체제불안 요소로 보는 것이 문제이다. 북한은 쌀이나 비료지원 등을 위한 협상카드로 이산가족 상봉을 활용하던 태도를 버리고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통 큰 결단을 내려주길 바라마지 않는다. * 박용만 (사)남북통일운동국민연합상임지도위원
    • 오피니언
    2014-08-30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