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9-10(화)
 
  • - 김포 및 경기도 일부 도시의 서울 편입은 ‘정략적 매표행위’

- 전남의 기초단체는 22개 시·군 중 13곳이 소멸위기

- 목포·신안·무안 지역통합을 통해 전남 서남권의 거점 세워야

 

ejalseks.PNG

 

김명선 더불어민주당 정책위부의장은 28일, 오후 1시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광주·전남 초광역권 육성전략’, 목포가 중심이 되어야”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김명선 정책위부의장과 목포대전환연구소, 청정포럼, 목포해양대학교 총동창회 회원 등이 참석했으며, 무소속 김남국 국회의원이 배석했다.

 

김명선 정책위부의장은 기자회견을 가지게 된 배경으로 “여당의 무책임한 ‘서울 메가시티’ 정책 논의로 인해 다시 한번 마음에 상처를 입은 500만 호남 인구와 22만 목포시민의 마음을 대변하기 위해서”라고 밝혔다.

 

김명선 정책위부의장은 “김포 및 경기도 일부 도시의 서울 편입은 국가적인 고민 없이 나온 ‘정략적 매표행위’”라며, “무책임한 정부여당의 선거공학적 패악질에 진정 상처받는 것은 호남지역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명선 정책위부의장은 호남민이 상처받는 근거로 “호남 지역의 인구는 지난 60년간 전체 인구의 24%에서 9.7%로 줄고 수도권 인구는 21.2%에서 50.2%로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며 “역대 보수 정권이 소외시킨 호남 개발로 인해 호남의 식구 4명 중 2명은 일자리를 찾아 타지로 떠나야만 했다.”며 “이는 명백한 호남지역의 아픔이자 대한민국 현대사의 비극이자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김명선 부의장은 “전남의 기초단체는 22개 시·군 중 13곳이 소멸위기에 처해있는 열악한 상황”이며, “서울 메가시티가 추진되면 많은 지자체, 특히 호남지역의 지자체들이 인구유출을 버티지 못하고 사라질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명선 부의장은 최근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논의되는 광주·전남 메가시티 방안에 대해서는 “광주와 나주 등 인접 대도시만 결합하는 메가시티화 계획이 진행되면 소멸위기를 맞고 있는 다른 시군의 존망이 어떻게 전개될지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남의 각 시군이 광주를 중심으로 한 메가시티의 특정한 기능을 분담하고 함께 발전하는 ‘광주·전남 초광역권’ 육성전략이 먼저 시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명선 부의장은 “광주·전남 메가시티의 경우, 전라남도 서남권의 교통 요충지이자 국가 주요 항만으로 중국, 일본 등 해외 수출이 용이한 목포가 물류의 중심이 되어 함께 발전해 나가는 것이 타당할 것”,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목포, 신안, 무안 통합과 같이 지역통합이 이루어지고 경쟁력 있는 도시들이 형성되어야 전남의 소멸을 막을 수 있습니다.”라고 주장했다.

 

김명선 부의장은 “단순히 광주와 나주를 통합하자는 논의는 소멸을 맞은 전남의 시·군의 마지막 선고를 앞당길 뿐”이라며 “각 시군이 서로의 역할을 분담하는 ‘광주·전남 초광역권’ 육성전략을 세밀하게 수립하여 시행하는 것만이 전남의 소멸위기를 막을 수 있는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김명선 부의장은 “얼마 전 김영록 전남도지사께서도 목포는 김대중 평화주의를 낳은 전라도 정신의 본고장이자, 전남 서남권의 교통 요충지라며 목포 르네상스 시대를 전남도가 힘껏 뒷받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며 “우리당의 정책도 이에 호응하여 전라남도 메가시티 및 초광역권 구상에 호남의 기점인 목포가 전남 서남권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주시길 바라며”, “정부의 핵폐수 용인으로 민생에 직격타를 맞고 광주·전남 메가시티 논의에서 소외되어 있는 22만 목포시민의 자긍심을 세워주길 다시 한번 간곡히 호소하는 바입니다.”라며 회견을 마쳤다.

  

한편, 친명계로 분류되는 김명선 정책위부의장은 지난 8월 17일 목포에서 총선 출마를 밝힌 출마예정자이며, 지난 대선에서 이재명 후보 직속 시민캠프 ‘더밝은미래위원회’ 상임위원장을 맡은 바 있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김명선 더불어민주당 정책위부의장, ‘광주·전남 초광역권 육성전략’, 목포가 중심이 되어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